국내 연구진, 양자소자 개발 가능성 큰 신물질 합성 성공
상태바
국내 연구진, 양자소자 개발 가능성 큰 신물질 합성 성공
  • 권동혁 기자
  • 승인 2022.09.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울산대학교)
(사진=울산대학교)

 

[이슈밸리=권동혁 기자] 울산대학교는 16일 김정대 반도체학과 교수 연구팀이 이재광 부산대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장영준 서울시립대학교 물리학과 및 스마트시티학과 교수 연구팀·황영훈 울산과학대학교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바일준금속(Weyl semimetal)의 전자구조를 제어할 수 있는 신물질을 합성해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양자소자 개발 가능성을 열었다고 밝혔다.  

연구진에 따르면 양자소자는 다양한 양자 효과들을 능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미래 소자를 뜻한다.

독일의 물리학자 헤르만 바일(Hermann Weyl)이 제안한 바일준금속은 독특한 위상성질을 가지고 있어 해당 금속에 전압을 걸어주면 전자가 이동하는 통로가 형성돼 이 통로에서는 저항을 받지 않고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향후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는 양자소자를 개발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연구팀은 제1원리계산 기법을 통해 바일준금속의 응용성을 높일 수 있는 전자구조 제어 가능성을 예측했고 이에 대한 실험적 검증을 위해 바일준금속 물질인 니켈칼코겐화합물(NiTe2)에 셀레늄(Se)을 치환해 니켈칼코겐화합물합금(NiTe2-xSex)이라는 신물질 합성에 성공했다.

이에 연구팀은 주사터널링현미경과 각도분해능광전자분광법 분석기법으로 직접 합성한 니켈칼코겐화합물합금에서 셀레늄 원소의 양에 비례해 전자구조 제어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반도체에서 도핑과 같은 효과가 발생함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로 개발한 바일준금속 신물질을 통해 전자구조를 목적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 것"이라며 "연구 결과는 전력 손실이 없는 양자전자소자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