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새로운 핵융합로 운전 방식 개발
상태바
국내 연구진, 새로운 핵융합로 운전 방식 개발
  • 권동혁 기자
  • 승인 2022.09.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이슈밸리=권동혁 기자] 국내 연구진이 새로운 핵융합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과 서울대 공동 연구팀이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R)의 초고온 핵융합 플라스마 운전 성과를 분석해 새로운 핵융합 플라스마 운전방식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태양과 같이 핵융합 반응으로 에너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초고온·고밀도 상태의 플라스마를 핵융합로에 장시간 안정적으로 가두는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이다.

가장 대표적인 플라스마 운전 방법은 고성능 플라스마 운전 모드라고 불리는 H-모드로, 이는 상용로 운전을 위한 기본 핵융합 플라스마 운전 방법으로 고려되고 있다.

H-모드에서는 플라스마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장벽을 활용한다. 하지만 문제는 가장자리의 압력이 임계치를 넘어가 풍선처럼 터지는 플라스마 경계면 불안정 현상(ELM)이 발생해 핵융합로 내벽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핵융합 연구자들은 ELM을 제어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한편, 더욱 안정적인 플라스마 운전 모드를 찾기 위해 노력했지만 녹록지는 않았다.

이 가운데 국내 연구진은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R)의 운전데이터 분석과 시뮬레이션 검증을 통해 새로운 운전 방법을 찾아냈다.

연구진은 플라스마 가열시 발생한 고속이온이 플라스마 내부의 난류를 안정화해 플라스마 온도를 급격히 높이는 현상을 발견하고, 이를 새로운 운전모드인 'FIRE 모드'로 명명했다.

이는 기존 H-모드 대비 플라스마 성능을 개선함과 동시에 H-모드의 단점인 경계면 불안정 현상(ELM)이 발생하지 않고, 운전 제어도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번 연구성과는 지난 몇 년간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R)에서 달성한 초고온 플라스마 장시간 운전 성과의 독창성이 일반 학계에서도 인정받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 고속이온의 물리적 이해를 바탕으로 향후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및 핵융합 실증로 운전 기술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나용수 서울대 교수는 "FIRE 모드는 예측한 대로 실험이 진행되지 않았던 실패한 실험 결과를 분석하다가 새롭게 얻어진 창의적인 결과물로 한국의 핵융합 연구가 기존과 다른 독창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라며 "이러한 초고온 플라스마 운전 영역 발견은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R)가 초정밀도로 건설되었기에 가능했던 결과이자 국내외 대학, 연구소의 긴밀한 협력으로 가능했다"라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