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칼럼] 기회와 성장의 사다리 ‘유튜브’ (Ladders of opportunity and growth 'Utube')
상태바
[데스크칼럼] 기회와 성장의 사다리 ‘유튜브’ (Ladders of opportunity and growth 'Utube')
  • 이슈밸리
  • 승인 2019.08.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방송사와 신문들, 유튜브 깎아내리기 중단해라

 

[이슈밸리=윤대우 발행인] 요즘 유튜브에 영상을 올리는 것이 일상이 됐다. 올릴 내용을 점검하고 다듬고, 영상을 편집하고 목소리를 더빙한다. 이 과정이 결코 만만치 않음에도 그래도 도전하는 이유는 기존 포털보다 유튜브의 반응 속도가 훨씬 빠르고 뜨겁기 때문이다.

포털에 올린 기사는 보통 하루, 이틀이면 저 멀리 사장되거나 반응이 없어진다. 그런데 희안 하게 유튜브에 올린 콘텐츠는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 뜨거운 반응을 보인다. 데이터를 들여다 봐도 그래프가 우상향 곡선을 그린다.

필자는 유튜브 외 카카오TV와 네이버TV를 동시에 운영한다. 콘텐츠를 한 개 만들어 3개 동영상 플랫폼에 올리면 가장 뜨겁게 반응하는 곳은 유튜브 뿐이다.

카카오와 네이버는 요지부동이다. 시작한 지 두 달 정도 됐으나 유튜브 구독자는 어느새 1000명을 훌쩍 넘은 반면, 네어버는 구독자 5명을 기록하고 있다. 유튜브에서 조회수 10만회를 넘긴 영상이 카카오TV에선 조회수 15회를 기록하고 있다.

원인이 무엇 때문인지 알 수가 없다. 똑같은 영상을 동시에 올렸음에도 이런 결과가 나온다. 

국내 포털 TV에는 주로 일반 독자가 만든 B급 영상보단 메이저 방송사·신문사·tvN 같은 곳에서 올린 영상만이 메인 화면에 보인다. 반면 유튜브엔 유명하지도 않은 일반 사람이 만든 영상이 메인 화면을 장식한다. 일반 사람들이 유튜브로 몰리는 이유다.

피드백이 없고 보람이 없는데 카카오와 네이버를 선호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어디 나만 이런 느낌일까.

통계가 말해주고 있다. 모바일 앱 분석 기업 와이즈앱의 지난 2018년 11월 조사에 따르면 11월 한 달간 약 3천 122만 명이 유튜브를 사용했고 총 사용 시간은 317억 분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점유율이 86%로 3% 대인 아프리카 TV와 2%대 이하인 SK텔레콤의 옥수수와 중국의 틱톡, 네이버TV 등과는 비교 자체가 불가능하다.   

유튜브는 기회와 성장의 사다리다. 시골 한 청년이 자신의 일상을 영상에 담아 올린 유튜브가 구독자 100만을 넘고 그 청년은 홀로 사는 어머님을 위해 3층짜리 집을 새로 지었다.

서울 SKY 출신도 아닌 지방대 출신의 한 유튜버는 구독자 300만이 훌쩍 넘는다. 그의 연봉은 약 20억원 규모, 국내 최고 기업 삼성전자 CEO 연봉 급이다.

우리가 일상에서 평범하게 만날 수 있는 이러한 이웃들이 유튜브를 통해 부와 명예를 거머쥐는 시대가 왔다. 어느 날 불쑥 찾아온 것이다. 기업의 광고는 유튜브로 몰리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기존 방송사-신문사들의 매출은 급감하고 있다.

위기를 느낀 방송사와 신문사들은 이러한 이유로 유튜브를 깍아 내리기 시작했다.

유튜브의 흠집을 찾아 8시 메인뉴스에 보도한다. 주로 유튜버들의 부정적인 면을 계속 시청자들에게 주입 시킨다.

그러나, 이 시대적 흐름을 역행할 수는 없다. 유튜버들의 잘못된 태도와 부조리한 영상은 사라져야겠지만 영상을 소비하는 세대가 유튜브로 쏠리고 있다는 사실 자체를 막을 수는 없게 됐다.

이는 성균관대 최재붕 교수가 쓴 ‘포노 사피엔스’에서 말한 것처럼 전 세계 30억 인구가 휴대폰으로 뉴스를 보고 물건을 결재를 하는 일상에서 유튜브는 이러한 흐름 가운데 중요한 영역으로 자리매김했다는 사실이다.

정부와 언론에서 아무리 유튜브를 강제하고 깎아내리려 해도 별 소용이 없는 이유다. 더욱이 유튜브는 국내 기업도 아닌, 자국 경제 보호를 최우선 가치로 여기는 트럼프 보호 아래 있는 구글 자회사 아닌가.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국내 메이저 방송·신문과 종편 등에서 유튜브에 대한 부정적 뉴스를 양산하면서도 정작 자신들은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구독자가 적게는 몇 만에서 몇십 백만을 넘긴 방송사도 있다. 유튜브에서 이런 곳에 수익창출을 승인했고 매달 통장으로 돈을 보내주고 있는 것이다.

그들도 유튜브로 인해 부수익이 생겨 위기의 언론 환경에서 나름 생존 전략을 찾은 셈이다.

다시 정리하면, 유튜브는 기회와 성장의 사다리다. 한국에서는 이제 개천에서 용이 날 일이 없는 세상이 됐다. 오직 돈이 있어야 좋은 과외-학원을 다녀 일류대학을 가고, 출세하는 시대가 됐다.

그런데 유튜브를 통해 70대 할머니가 인생이 역전되고, 실직했던 40-50대 가장이 성공하고 30대 평범한 강사가 스타 강사로 역전되고, 20대 취준생이 연봉 10억을 번다면, 이건 기회인가, 불행인가.

유튜브는 로또가 아니다. 불로 소득으로 평가절하 하는 이들이 있지만, 위 말한 이들은 유튜브 영상을 만들기 위해 치열한 고민과 열정을 쏟아 부었던 사람들이다.

필자가 유튜브를 만들지 않았다면 이런 말을 못하지만 두 달간 직접 제작을 해보니 유튜브는 그냥 만들어지는 게 아니란 사실을 깨달았다.

유튜브는 성실함과 책임감, 콘텐츠 열정만 있으면 구독자와 시청시간이 늘고 수익이 창출되는 단순한 구조다.

아무리 콘텐츠를 올려도, 좋은 콘텐츠를 무수히 만들어 올려도 깜깜 무소식인 국내 포털 영상 플랫폼보다 오히려 더 정직한 구조다. 

초등학생들 꿈 1순위가 유튜버라고 하여 많은 부모들이 걱정과 염려 불안으로 가득하다고 한다. 필자 역시 자녀가 유튜브를 계속 시청하면 제재를 가한다. 

그런데, 시대가 바뀌고 있다. 뉴스를 TV나 포털로 보는 시대가 아닌, 유튜브로 시청하는 시대가 왔다. 기회와 성장의 사다리 유튜브를 그만들 비난하자.

 

These days, it has become a daily routine to upload videos on YouTube. Check and trim what is to be uploaded, edit the image and dub the voice. The reason why this process is never easy is that YouTube's response speed is much faster and hotter than the existing portal.

Articles posted on the portal usually die far away in one or two days or become unresponsive. However, the contents uploaded on YouTube in a strange way are more enthusiastic over time. Even when you look at the data, the graph draws a right-up curve.

In addition to YouTube, I run Kakao TV and Naver TV at the same time. YouTube is the only one that responds the hottest when you create one content and upload it on three video platforms.

Kakao and Naver are unyielding. It's been about two months since it started, but the number of YouTube subscribers has already easily surpassed 1,000, while Neaver has five. The video, which has garnered more than 100,000 views on YouTube, has 15 views on Kakao TV.

I don't know what the cause is. This is the result of posting the same video at the same time.

Only videos uploaded by major broadcasters, newspapers and TVNs are displayed on South Korean portal TVs rather than B-level videos that are mostly made by regular readers. On the other hand, YouTube features videos made by ordinary people who are not even famous. This is why ordinary people are flocking to YouTube.

This is because there is no reason to prefer Kakao and Naver, which have no feedback and are not rewarding I don't think I'm the only one who feels this.

Statistics are telling. According to a November 2018 survey by mobile app analytics company WiseApp, about 32.2 million people used YouTube in November, with total usage time reaching 31.7 billion minutes. This is impossible to compare with African TVs with 86 percent of market share, SK Telecom's corn, China's Tik Tok and Naver TV, which are in the 3 percent range and below 2 percent range.

YouTube is the ladder of opportunity and growth. YouTube, a young country boy uploaded his daily life on video, has more than a million subscribers and the young man has built a new three-story house for his single mother.

One YouTuber, who is not even from SKY in Seoul, has well over 3 million subscribers. His annual salary is worth about 2 billion won and he is the salary of CEO of Samsung Electronics, the nation's top company.

The time has come for these neighbors, whom we can meet in a normal way in our daily lives, to seize wealth and honor. One day, I came by unexpectedly. Corporate ads are flocking to YouTube. Due to the current situation, sales of existing broadcasters-newspapers are plunging.

Feeling threatened, broadcasters and newspapers began to clip YouTube for this reason.

Find a flaw on YouTube and report it on the main news at 8 p.m. Mainly, they are constantly injecting viewers with the negative side of YouTube.

However, this trend cannot be reversed. The wrong attitude and absurd images of YouTube should be eliminated, but they cannot stop the fact that the generation of video consumers is turning to YouTube.

As Professor Choi Jae-bung of Sungkyunkwan University said in his book "Pono Sapiens," YouTube has become an important part of this trend in the daily lives of 3 billion people around the world watching news and paying for goods on their cell phones.

This is why no matter how much the government and the media try to force and undermine YouTube, it is of little use. Moreover, YouTube is not a Korean company, but a Google subsidiary under Trump's protection, which considers protecting its economy as its top priority.

One interesting fact is that while Korea's major television networks, newspapers and general newspapers generate negative news about YouTube, they are actually running YouTube channels.

Some broadcasters have had fewer than a few million to a few million subscribers. YouTube has approved revenue generation to these places and sends money to their bank accounts every month.

In other words, they have found their own survival strategy in the media environment of crisis as YouTube has generated additional profits.

In other words, YouTube is the ladder of opportunity and growth. In Korea, dragons are no longer allowed to fly in Gaechon. It has become a time when only money is needed to go to good private tutoring-hagwons, go to top universities, and get ahead in the world.

But if the life of an old woman in her 70s is reversed, if the mother in her 40s and 50s is successful, if an ordinary teacher in her 30s is turned into a star lecturer, and a freshman in her 20s earns a billion won in annual salary, is this an opportunity or misfortune?

YouTube is not a Lotto. There are those who devalue their earnings by fire, but those above are those who have poured their intense agony and passion into making YouTube videos.

If I didn't make YouTube, I couldn't say this, but after two months of making it myself, I realized that YouTube wasn't just made.

YouTube is a simple structure where sincerity, responsibility and content passion alone increase subscribers and viewing time and generate profits.

No matter how many good contents you upload, it is more honest than the Korean portal video platform.

Many parents are said to be worried and anxious because the top drea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to be a YouTuber. I also impose sanctions on my children if they continue to watch YouTube.

However, times are changing. The era of watching news on YouTube has come, not through TV or portal. Stop blaming YouTube for the ladder of opportunity and growth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